본문 바로가기
건강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 신청 방법부터 2025년 변경사항까지 총정리

by 친환경 당근 2025. 3. 2.

1.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란?

📌 서비스 개요 및 필요성

혼자 병원을 방문하기 어려운 1인 가구, 고령층, 장애인 등을 위해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이 서비스는 병원 방문 시 보호자 역할을 대신 수행하는 서비스로, 병원 출발부터 귀가까지 동행하여 도와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 누가 이용할 수 있을까?

  • 혼자 사는 1인 가구: 보호자가 없어 병원 방문이 힘든 분
  • 고령층 및 거동이 불편한 분: 이동이 어려운 노인, 장애인
  • 임산부 및 어린 자녀를 둔 부모: 안전한 병원 이용을 원하는 경우
  • 기타 도움이 필요한 분들: 수술 후 이동이 어려운 환자 등

2.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 신청 방법

🏢 서울시, 경기도 등 공공 서비스 신청 방법

  • 서울시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
    신청 방법: 서울시 1인가구 포털 또는 ☎ 1533-1179 콜센터
    운영 시간: 평일 오전 7시~오후 8시 / 주말 예약제 운영
    서비스 비용: 시간당 5,000원(서울시 지원), 중위소득 100% 이하인 서울시민은 연 48회까지 무료 지원
  • 이용횟수 확대: 주 2회에서 월 10회로 변경 (2025년 2월)
  • 연간 이용시간 한도: 1인당 연간 200시간 한도 (2025년 2월)
  • 취소 규정 신설: 현장취소(노쇼) 2회 또는 당일취소(예약시간 5시간 이내 취소) 3회시 1달간 이용금지 규정 신설
    현장 또는 당일 서비스 취소시 동행 매니저의 1시간 임금인 1만 3천원의 실비를 청구(2025년 4월부터 시행)
  • 경기도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
    신청 방법: 경기도 24 민원 포털에서 온라인 신청
    운영 시간: 주중 9시~18시 (지자체별 상이)
    서비스 비용: 무료 또는 일부 본인 부담금 발생 가능

🏥 민간 병원 동행 서비스 신청 방법

공공 서비스 외에도 민간 기업에서 운영하는 병원 동행 서비스도 있습니다.

  • 주요 업체: 해피케어, 돌봄앤조이, 헬퍼코리아
  • 신청 방법: 홈페이지 또는 전화 상담 후 예약
  • 운영 시간: 24시간 서비스 가능 (업체별 상이)
  • 비용: 시간당 15,000~30,000원 (서비스 종류에 따라 다름)

3. 병원 동행 서비스 비용은 얼마일까?

💰 공공 서비스 vs. 민간 서비스 비용 비교

서비스 유형 비용 비고
서울시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 시간당 5,000원 서울시 지원
경기도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 무료 또는 일부 부담 지자체별 차이 있음
민간 병원 동행 서비스 시간당 15,000~30,000원 업체별 차이 있음

4.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 이용 시 유의사항

✅ 이용 시간 및 예약 필수 여부

  • 서울시 및 경기도 공공 서비스는 사전 예약 필수
  • 민간 서비스는 당일 예약 가능하지만 비용이 높을 수 있음

✅ 취소 및 변경 정책

  • 공공 서비스: 이용 전날까지 취소 가능, 당일 취소 시 일부 수수료 발생
  • 민간 서비스: 업체별 상이하지만 대부분 당일 취소 시 위약금 발생

5. 병원 동행 서비스,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

  • 병원 방문이 어려운 1인 가구
  • 노부모님을 대신해 병원 동행이 필요한 가족
  • 수술 후 회복 중이라 이동이 어려운 환자
  • 임산부, 어린아이를 둔 부모

🚗 병원 이용이 걱정되신다면,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를 적극 활용해보세요!

6. 마무리 및 결론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는 병원 방문이 어려운 분들을 위해 편리하고 안전한 동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용한 제도입니다.

특히 공공 지원 서비스는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 가능하므로, 필요하신 분들은 꼭 신청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